반응형
오늘 기록할 이야기는 앱의 생명주기 입니다.
앱개발을 진행할 때 가장 먼저 듣는 이론 중 하나가 앱의 생명주기 인것 같습니다.
애플의 공식 문서에 나와있는 생명주기 그림이다.
Unattached : 앱을 아직 실행하지 않은 상태이다.
Foreground Inactive :
- 앱을 실행했지만 사용자로부터 이벤트를 받을 수 없는 상태.
- 앱을 완전히 활성화하기 이전 단계.
Foreground Active :
- 포그라운드 활성 상태로 전환할 때 UI를 구성하고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준비를 합니다.
- 포그라운드 활성 상태를 종료하면 데이터를 저장하고 앱 동작을 조용하게? 합니다.
- 앱을 실행했고 사용자로부터 이벤트를 받을 수 있는 상태.
- 가장 일반적인 앱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
Background :
- 앱을 실행한 뒤 백그라운드로 넘어간 상태.
- 홈버튼을 눌러 밖으로 나갔을 때의 상태.
- 그래도 메모리에 올라가있는 상태이다.
- ex) 음악이나 앱을 정상적으로 종료하지 않고 아이폰 기준 위로 올리기만하여 홈으로 돌아갔을때!
Suspended :
-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앱이 특별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 접어드는 상태
- OS 가 판단하여 Background → Suspend 상태로 변환시킨다.
반응형
'Ios > Swi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ft] Optional타입을 print하면 Optional(value)라고 나오는 이유 (0) | 2024.06.27 |
---|---|
[Swift] NSExpression과 expressionValue (0) | 2024.06.25 |
[Swift] Generic 스위프트 제네릭 (0) | 2022.08.07 |
[Swift] Memory 스위프트 메모리 관리 (0) | 2022.08.06 |
[Swift] Protocol_2 스위프트 프로토콜 (0) | 2022.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