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설명
문자열 s가 입력되었을 때 다음 규칙을 따라서 이 문자열을 여러 문자열로 분해하려고 합니다.
- 먼저 첫 글자를 읽습니다. 이 글자를 x라고 합시다.
- 이제 이 문자열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나가면서, x와 x가 아닌 다른 글자들이 나온 횟수를 각각 셉니다. 처음으로 두 횟수가 같아지는 순간 멈추고, 지금까지 읽은 문자열을 분리합니다.
- s에서 분리한 문자열을 빼고 남은 부분에 대해서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남은 부분이 없다면 종료합니다.
- 만약 두 횟수가 다른 상태에서 더 이상 읽을 글자가 없다면, 역시 지금까지 읽은 문자열을 분리하고, 종료합니다.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위 과정과 같이 문자열들로 분해하고, 분해한 문자열의 개수를 return 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 제한 사항
- 1 ≤ s의 길이 ≤ 10,000
- s는 영어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s="banana"인 경우 ba - na - na와 같이 분해됩니다.
입출력 예 #2
s="abracadabra"인 경우 ab - ra - ca - da - br - a와 같이 분해됩니다.
입출력 예 #3
s="aaabbaccccabba"인 경우 aaabbacc - ccab - ba와 같이 분해됩니다.
--풀이
조금 어지러운 문제 입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func solution(_ s:String) -> Int {
var count = 0
var mainString = s
while !mainString.isEmpty {
var firstChar = String( mainString.first! )
var leftCount = 0
var rightCount = 0
var currentIndex = 0
for char in mainString{
if firstChar == String(char){
leftCount += 1
}else{
rightCount += 1
}
if leftCount == rightCount {
currentIndex += leftCount + rightCount
count += 1
mainString.removeSubrange(mainString.startIndex..<mainString.index(mainString.startIndex, offsetBy: currentIndex))
break
}
}
if leftCount != rightCount {
count += 1
break
}
}
return count
}
|
cs |
해당 문제의 경우 변수가 많고 이중 반복문이라는 점 때문에 헷갈리는 문제였습니다.
첫 if문의 leftCount의 경우에는 x와 같은 값의 수를
rightCount의 경우에는 x와 다른값의 수를 구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 if문의 경우에는 두수가 같을때 현재 문자열의 index를 구하고 문자열을 나눈 수인 count의 숫자를 더하면서
나눈 문자열을 mainString에서 삭제하는 if문 입니다.
세 번째 if문의 경우에는 문자열 검색을 끝내고 나머지 남아있는 문자열을 count에 더하는 로직을 구현하였습니다.
반응형
'Algorithm & Data Structure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자연수 뒤집어 배열로 만들기 .with Swift (0) | 2024.05.30 |
---|---|
[프로그래머스] 자릿수 구하기 .with Swift (0) | 2024.05.29 |
[프로그래머스] 3진법 뒤집기 java 풀이 (1) | 2023.11.21 |
[프로그래머스] 같은 숫자는 싫어 문제 풀이 (1) | 2023.11.20 |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다루기 기본 풀이 (0) | 2023.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