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제어문에 대하여 말해 보겠습니다.
제어문의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문장으로
분기문과 반복문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분기문은 if문, switch문
반복문은 for문, while문으로 또 분류가 되어있습니다.
오늘 알아볼 것은 분기문의 if문과 switch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if문 입니다.
기본적인 방식은
if( 조건식 ){
조건식이 참일 때 실행되는 영역
}<-- 영역표시
이러한 형식으로 표시하게 되며 조건식이 참일경우에만 {}안으로 들어갈수 있는 구조 입니다.
if문의 확장된 영역으로 if_else와 else_if문이 있습니다.
if-else문법 : 2지선답일 경우 경제적
if( 조건식 ){
조건식이 참일 때 실행되는 영역
}else{
조건식이 거짓일 때 실행되는 영역
이렇게 나타내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int n = 49;
String str = "";
if( n++ >= 50 ) {
//if조건이 참이라면 else분을 무시한다.
str = "n은 50이상의 수";
}else{ str = "n은 50미만의 수";
//if의 조건이 거짓일때 반드시 호출되는 영역
}
System.out.println(str);
|
cs |
이런식으로 사용됩니다.
else if는 다중 if문으로도 불리며 여러개의 조건비교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if문 입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int num = 49;
String str = "";
if( num >= 90 ) {
str = "A";
}else if( num >= 80 ) {
str = "B";
}else if ( num >= 70 ) {
str = "C";
}else if ( num >= 60 ) {
str = "D";
}else{
//위의 조건식이 모두 거짓일 때
//마지막에 반드시 호출되는 영역
str = "F";
}
System.out.println(str);
|
cs |
이렇게 사용되어 집니다.
switch문
switch문의 경우에는 비교값을 통해 조건값과 값을 비교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제어문으로
switch( 비교값 ){
case 조건값 :
비교값과 조건값이 일치하 때 호출되는 영역
break;
이런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그리고 switch문의 경우에는 몇가지 규칙이 있습니다.
1. 조건값은 중복되게 만들지 않는다.
2. 비교값과 조건값은 자료형 타입이 반드시 일치해야한다.
3. else if보다 속도가 빠르다.
4. 비교값으로 사용가능한 자료형 타입
정수형 : byte, short, int
문자형 : char
문자열 : String
이러한 규칙을 지켜야하며 아니면 오류가 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int n = 2;
switch( n ) {//비교값
case 1://조건값
System.out.println("1. game start");
break;//break를 만나면 switch문을 완전히 빠져나온다.
case 2:
System.out.println("2.information");
break;
case 3:
System.out.println("3.exit");
break;
default:
//비교값과 조건값이 일치하는 것이 한개도 없는 경우
//호출되는 영역
System.out.println("1, 2, 3 이외의 값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break;
}
|
cs |
기본적으로 사용법은 위와 같습니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제어문 for문과 while문 (0) | 2021.01.29 |
---|---|
Java의 연산자 그 두 번째 (0) | 2021.01.26 |
Java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자 첫 번째 (0) | 2021.01.26 |
Java의 변수 int? double?이 뭐야? (0) | 2021.01.24 |
Java의 JVM, JRE, JDK 란? JVM과 JRE, JDK 정리 (0) | 2021.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