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십니까 공부하는 개발자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Argument Label입니다.
사실 이런식으로 파트를 나눌정도의 분량이 있는것은 아니지만 지금 까지 공부했던 언어들과
다른점이라 따로 정리를 해보려 합니다.
기존에 제 포스팅에서는 파라미터를 받을때
(name: Type)
이러한 형식으로 받았습니다. name이 ParameterName으로 분리하게 되었지만 동시에 ArgumentLabel이 될 수 있는 형태 입니다.
물론 틀린 형식은 아닙니다만 한가지 형태를 더 알고있어야 합니다.
(label name: Type)
이름을 보았을때도 알수 있듯이 label쪽에는 주로 전치사가 들어가며 ArgumentLabel이 되며
name이 ParameterName입니다.
1
2
3
4
|
func sayHello(name: String){
print("Hello, \(name)")
}
|
cs |
이러한 함수가 있다고 가정했을때 호출은
1
|
sayHello(name: "swift")
|
cs |
이러한 형식으로 호출을 했습니다.
1
2
3
|
func sayHello(to name: Type){
print("Hello, \(name)")
}
|
cs |
이러한 ArgumentLabel이 있는 함수는 어떤식으로 호출을 할까요?
1
|
sayHello(to:)
|
cs |
이런식으로 호출을 합니다.
또한 컴파일러도 이 둘을 구분합니다.
그리고 ArgumentLabel이 있는 함수에서는 ArgumentLabel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ArgumentLabel은 선언하기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지 함수안에서 파라미터 역할을 하려면 parameterName을 사용해야 합니다.
반응형
'Ios > Swi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ft] Swift의 데이터 이동방식 튜플 (0) | 2022.06.15 |
---|---|
[Swift] Closures 스위프트의 람다 (0) | 2022.06.10 |
[Swift] Function - 함수 (0) | 2022.06.08 |
[Swift] Optional Chaining 옵셔널 체이닝 (0) | 2022.06.07 |
[Swift] Optional Binding 옵셔널 바인딩 (0) | 2022.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