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개발자 Okoo입니다.
오늘 알아볼 자료구조는 배열입니다.
자료구조에서 가장 우리가 많이 사용해본 구조라고 생각됩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구조이기 때문에 C, C#, Java 등등 대부분의 언어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단순하지만 정말 활용도가 높고 이에 파생되는 알고리즘도 많이 있어 가장 중요한 자료구조로 꼽히는 구조입니다.
A 0 |
B 1 |
C 2 |
D 3 |
E 4 |
F 5 |
위의 데이터인 A,B,C....가 요소 Element라 불리며
밑의 0,1,2,3... 요소에 붙어진 숫자가 인덱스 index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배열은 항상 요소의 자료형이 같아야 하며 인덱스의 시작은 1이 아닌 0부터 시작을 합니다.
또한 배열의 요소는 순차적으로 또 연속적으로 정렬이 되어있으며 메모리에 저장이 될때 물리적으로 붙어있어
배열을 생성할때 배열의 길이를 고정해 새로 생성하지 않는 한 변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데이터를 하나 추가하려면 새로운 배열을 만든다음 현재 있는 배열을 복사해 넣고 끝에 하나를 추가하는 식으로
매우 불편한 구조이지만 배열의 길이를 미리 선언하고 변화하지 않음으로 메모리에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Algorithm & Data Structure > Data Stru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LinkedList 기본 개념 (0) | 2021.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