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Okoo입니다.
오늘 알아볼 코틀린 문법은 코틀린의 문자열 코드입니다.
프로그래밍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타입으로 큰 따옴표로 감싸 값을 표기합니다.
1
2
|
var str : String = "Hello Kotlin"
var greet : String = "안녕하세요"
|
cs |
이러한 형태로 선언이 되는 것이 기본 입니다.
여기까지는 Java와 큰 차이가 없죠 하지만 코틀린은 RawString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RawString은 큰 따옴표를 세개를 감싸는 것으로 (""")
1
2
3
|
var str : String = """문자열 안에 엔터나 스페이스
탭같은 여러 문자들도 그대로 출력이 되기 때문에 자유롭게 글을 출력 할 수 있습니다.
"""
|
cs |
주석의 /**/ 문자열 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또 다른 특이한 점은 String Template입니다.
String Template의 경우에는 문자열 안에 변수나 계산의 결과값을 그대로 삽입 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
var num1 : Int = 100
var num2 : Int = 200
val str : String = "Hello, ${num1}"
// Hello, 100
var trimmed = "str : ${str}"
// str : Hello, 100
trimmed = "hi ${a + b}"
// hi 300
|
cs |
이렇게 계산식과 명령어를 실행한 결과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Android Studio > Android Studio(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틀린 연산자 in (0) | 2021.07.01 |
---|---|
코틀린 Nullable, NonNull, 엘비스 연산자와 notNull (0) | 2021.06.30 |
코틀린의 배열 Array와 List, ArrayList (0) | 2021.06.29 |
코틀린의 변수의 타입 (0) | 2021.06.27 |
코틀린의 변수 var, val (0) | 2021.06.26 |